우리는 대체로 하루 24시간 중에 8시간 정도를 잠자는 시간으로 씁니다. 즉 하루의 1/3, 아니 인생의 1/3을 잠자는 것에 쓰는 것입니다. 잠이 우리의 일상 속에서 굉장히 중요한 부분임에도 사람들은 올바른 수면 습관에 대해 크게 개의치 않아합니다.
질병을 유발할 수 있는 음식이나 환경에는 관심이 많지만 정작 잠에 대해서는 크게 관심을 기울이지 않죠. 하지만 잘못된 수면습관은 뇌졸중 등의 혈관질환을 불러일으킬 수 있습니다. 또한 잠을 자고 일어났음에도 하루 종일 몸이 처지고 피곤한 상태가 됩니다. 이는 결국 건강을 해치는 지름길이 되는 것이죠.
수면의 양과 관련된 질환으로는 크게 두 가지가 있는데, 수면의 양이 부족한 불면증과 수면의 양이 과다한 기면증입니다. 먼저 불면증은 잠이 부족한 것인데, 잠을 잘 수 있는 조건임에도 잠이 오질 않거나 잠자는 도중 쉽게 깨거나 새벽에 일찍 깨어나는 등의 상태를 말합니다. 잠을 푹 자지 못하면 논리력이나 사고력, 어휘력이 크게 떨어지고 깨어 있는 동안에 깜빡 잠이 드는 것처럼 집중력을 잃게 되는 마이크로 수면이 생겨날 수도 있습니다. 마이크로 수면은 운전하는 도중 사고를 유발할 수 있는 위험한 현상입니다.
원인으로는 흡연과 음주, 정신적 불안 등이 있습니다. 불면증에 걸리면 수면제를 처방받는 경우가 많은데, 수면제 남용은 근본적인 해결책이 될 수 없으므로 원인을 제대로 찾아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비약물 치료인 인지행동치료는 환자들의 수면에 대한 생각, 습관 및 대처 방식을 교정하는 것으로 부작용 없이 효과가 큰 치료 방법입니다.
기면증은 밤에 충분히 잤음에도 불구하고 자면 안 되는 상황에 지나치게 졸음이 오고 갑자기 잠이 드는 질환입니다. 조절되지 않는 수면-기상 사이클을 갖게 되죠. 정확한 증상으로는 낮에 지나치게 졸리거나 잠에 드는 수면발작, 심하게 웃거나 울 때 갑자기 팔, 다리에 힘이 빠지는 탈력발작, 잠들 때 헛것이 보이는 입수 면기의 환각 등이 있습니다. 뇌의 '히포크레틴'세포가 줄어들기 때문에 나타나는데 왜 줄어드는지에 대해선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수면 무호흡 증후군은 수면 중 코를 골다가 10초 이상 숨을 쉬지 않아 공기의 흐름을 완전히 멈추거나 공기 흐름이 원활치 못해 뇌가 각성할 때 또는 산소포화도가 감소하는 증세가 시간당 5회 이상 나타나는 것을 말합니다. 뇌졸중 등 뇌혈관질환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은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인데, 목이 굵거나 턱이 작고 편도선이 커진 사람들은 위험성이 높습니다. 심할 경우 83%까지 올라가죠.
잠을 자면서 숨을 쉬지 않으면 뇌혈관이 수축하고, 뇌로 가는 혈류량이 줄어 혈관 탈력과 지혈 기능에 영향을 주는 내피세포 기능이 떨어집니다. 이에 뇌경색이 일어날 수 있고 혈관성 치매가 생길 위험이 높아집니다. 수면 무호흡증은 수면다원검사를 통해 확인할 수 있고 치료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원인에 맞는 치료를 해야 합니다.
일반적인 수면제에 듣지 않는 수면 장애의 일종입니다. 낮에는 괜찮다가 저녁만 되면 증상이 발생하는데, 양다리에 이상하고 기분 나쁜 느낌이 들어 다리를 움직이지 않고는 견디지 못하죠. 조이거나 따끔거림, 살 속으로 벌레가 기어다는 듯한 불편감을 느낍니다. 다리를 일부로 흔들거나 침대 모서리 등에 다리를 비벼서 자극하기도 하고 심할 땐 일어나 걸어 다녀야만 느낌이 사라지기 때문에 불면증에 시달리게 됩니다.
렘수면에서 대뇌와 뇌파는 각성 상태인 것처럼 활성화됩니다. 원래 수면 중에는 대뇌와 척수를 이어주는 뇌간이 운동신호를 차단하여 사지 근육이 움직이지 못하게 되는데, 렘수면 행동장애에서는 뇌간의 기능 이상으로 운동신호를 차단하지 못하고 꿈을 꾸는 동안에도 소리를 지르고 팔다리를 과격하게 움직입니다.
뇌간 기능 이상이 원인이 되기 때문에 파킨슨병이나 유사 질환에서 주로 발견됩니다. 이는 고약한 잠버릇, 잠꼬대로 치부될 수 있으나 수면질환 중 하나이기 때문에 전문가를 찾아 적절한 약물치료를 받아야 합니다.
잠이 보약이라는 말이 있습니다. 충분한 수면 시간을 확보하고 휴식을 취하는 것이 인체 건강에 굉장히 중요하기 때문이죠. 하루 7~8시간씩 편안한 수면을 취하는 것은 건강관리를 하는 가장 기본적인 단계입니다. 주어진 시간 안에 다음 날 필요한 원기를 회복할 수 있도록 올바른 수면 습관을 들이도록 노력해 보시길 바랍니다.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무도 몰랐던 '이것'의 위험성 (0) | 2022.04.24 |
---|---|
만수르 아내가 먹는다고 유명해진 '이것' (0) | 2022.04.23 |
급찐급빠 다이어트 최악의 부작용 (0) | 2022.04.23 |
다리 꼬는 습관이 '이것'에 치명적이다. (0) | 2022.04.23 |
마이너스 시력에서 1.5로 시력 회복하는 특급방법! (0) | 2022.04.23 |
댓글